본문 바로가기
  • 아름다운 오지산행
일반산행/경기도

[부천 범박산]과림저수지-성심산-범박산-역곡천-목감천-계수천-과림저수지

by 높은산 2025. 4. 4.

[부천 범박산]
과림저수지-성심산(×98.5)-산들역사문화공원-미소공원-범박산(×81.4)-역곡천-목감천-계수천-과림저수지

[도상거리] 약 11.2km

[지 도] 1/50,000 지형도 안양

[일 자] 2025년 4월 3일 목요일

[날 씨] 맑음

[코 스]
과림저수지/서측입구(10:25)-전망대(10:31~34)-성심산(10:45~47)-옥길로(10:59)-옥길산들초교(11:02)
-산들역사문화공원(11:04)-팔각정(11:07~11)-미소공원(11:19)-양지남로(11:22)-보호수느티나무(11:24)
-양지로(11:28)-범박산입구(11:32~35)-팔각정(10:39)-범박산(11:42~46)-안부쉼터(11:53~12:05)
-부광로(12:08)-역곡천/역곡3교(12:10)-역곡4교(12:13)-역곡교(12:18)-역곡6교(12:21)-역곡7교(12:26)
-옥길교(12:33)-공사중(12:36)-광남로(12:40)-역곡천/목감천합수부(12:41)-경륜교앞징검다리(12:44)
-식곡교(12:52)-금하로/노온사교(13:06)-계수천/목감천합수부(13:15)-금오로/계수교(13:20)
-과림저수지댐(13:27)-과림저수지/서측입구(13:46)


[소요시간] 3시간 21분(휴식 외:25분, 실 소요시간:2시간 56분)

[참여인원] 2인(아내와 함께)

[교 통] 승용차

<갈 때>
일신동(09:55)-(수도권제1순환)-시흥IC-(마유로+계수로)-과림저수지(10:17)

<올 때>
과림저수지(13:50)-(계수로+마유로)-시흥IC-(수도권제1순환)-일신동(14:10)




[후 기]


(성심산)


(범박산)


(역곡천)


(목감천)


(계수천)


(과림저수지)

시흥 과림저수지 깃점으로 전에 한번 진행했던 부천 성심산과 범박산 일대를 역 방향으로 진행한 뒤 역곡천-목감천
-계수천 경유 원점회귀하는 여정으로 잡았는데 산책로가 조성된 역곡천까지는 그런대로 괜찮았으나 산책로 없는
목감천과 계수천은 볼 것 없이 시종 시멘트길로 이어져 다소 지루했다는 평...
차라리 지름길 도로나 아니면 성심산 동쪽 건너편 능선을 택해 원점회귀하는 편이 좋았을 걸 하는 생각을 한다.

목감천은 광명시에 속하는 바 짧은 거리임에도 시흥, 부천, 광명시 등 3개 시 땅을 밟았다.


(과림저수지 서측 입구에 주차하고)


(계수로 건너 성심산 등산로로 진입한다)


(전망대에서 과림저수지 서측)


(중앙)


(동측)


(성심산 오름길)








(성심산)





(좌측으로)











(산길 끝나고 잠깐 골목길로)


(옥길로)


(횡단보도 건너 옥길산들초등학교 좌측길로 들어선다)


(범박동 순환 마을둘레길이라고...)


(산들역사문화공원)





(팔각정에서 잠깐 쉼을 하고)





(사태말 3거리에서 좌측으로)





(미소공원)





(양지남로 건너)








(보호수 느티나무)





(범박중학교 뒤 3거리에서 좌측으로)





(부천문화둘레길 안내판)





(양지로 건너고)


(직진)











(범박산 입구 쉼터)








(범박산 안내도)





(범박산)











(팔각정 지나고)











(범박산 정상)








(안부쉼터)


(부광로로 내려서서 횡단보도를 건넌다)


(철길 가로지르고)


(역곡3교)





(역곡천을 따른다)


(작년 이맘때는 벚꽃이 만개한 상태였지만 올해는 몽우리도 안 올라온 상태)


(제방길을 내려와 수변길을 따른다)








(옥길교)


(서울광명고속도로 공사 중)


(일부 물길을 돌려 놓고 공사중이다)


(역곡천/목감천 합수부)


(상류쪽으로 바로 건너가는 곳이 없어 일단 하류쪽으로 진행)


(경륜교 앞에 있는 징검다리를 통해 목감천을 건넌 뒤)


(목감천 동측 제방길을 따른다)


(서측 제방은 고속도로 공사때문에 일부가 막혀 진행할 수 없다)








(석곡교 지나고)


(다소 지루한 길)





(뒤돌아 봄)


(뒤로 보이는 야산을 택해 원점회귀 할 걸 하는 생각을 한다)





(노은사교)


(다리 건너 좌측으로)








(계수천/목감천 합수부)


(목감천 벗어나 계수천을 따른다)





(철길 건너고)





(금오로/계수교)








(과림저수지 제방에 도착하니 제방길은 잠겨져 있고 도로 따라서)


(저수지 낚시터 도착하고)














(저수지 둘레길 따라 원점회귀 여정으로 마무리한다)

[E N 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