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아름다운 오지산행
일반산행/경기도

[고양 건지산]원흥역-건지산-별아산-국사봉-원당역-서삼릉

by 높은산 2025. 3. 12.

[고양 건지산]
원흥역-건지산(×86.9)-별아산-별아산천/흥도로-×84.3-국사봉(×107.7)/남사면-국사봉다리-성라공원-원당역
-고양누리길3코스-수역이마을-태실/효릉정문-서삼릉입구-서삼릉-희릉-예릉-의령원/효창원-서삼릉입구


[도상거리] 약 14.7km

[지 도] 1/50,000 서울

[일 자] 2025년 3월 11일 화요일

[날 씨] 맑음

[코 스]
원흥역/4번출구(11:08)-농업기술센터(11:14)-고양대로/기산골입구교차로(11:19)-고개/산길초입(11:23)
-좌꺾임/훼릭스클럽위(11:34)-건지산(11:46~50)-우꺾임(11:54)-산길끝/미르젠빌(12:00)
-서오릉로지하통로(12:02)-원흥풋살입구(12:06)-원흥풋살(12:08)-솔밭동산(12:09)-별아산(12:14)
-강고개3거리(12:24)-별아산천/흥도로(12:42)-풍천장어직판장/산길초입(12:55)-지능선봉/식사(13:00~16)
-×84.3(13:21~24)-육각정자(13:28)-국사봉둘레길(13:29)-(남사면)-흥도동갈림(13:39)-은빛마을갈림(13:42)
-국사봉아래(13:51)-지석묘(13:52)-국사봉다리(14:03)-성라공원/체력단련장(14:07~13)-산길끝(14:22)
-원당역(14:24)-고양누리길/서삼릉누리길(14:28)-수역이마을(14:49)-서울문산고속도로지하통로(14:52)
-태실/효릉정문(15:04)-서삼릉입구/너른마당(15:24)-서삼릉입구/매표소(15:34)-희릉(15:38~50)-예릉(15:54)
-의령원/효창원(16:03~08)-매표소(16:11~15)-서삼릉입구(16:25)


[소요시간] 5시간 17분(휴식 외:50분, 실 소요시간:4시간 27분)

[참여인원] 1인

[교 통] 대중교통

<갈 때>
일신동(09:50)-(11번버스)-송내역(09:56~59)-(1호선)-소사역(10:06~23)-(서해선)-대곡역(10:46~53)-(3호선)
-원흥역(11:05)

<올 때>
서삼릉입구(16:26)-(043번마을버스)-원흥역(16:34~37)-(3호선)-대곡역(16:48~53)-(서해선)-소사역(17:18~27)
-(88번버스)-일신동(17:52)




[후 기]


(건지산)


(솔밭동산에서 별아산)


(원당역 내림길에서 국사봉)


(서삼릉)

고양시 건지산과 별아산이 미답인 바 고양누리길 3코스인 서삼릉누리길과 연계하는 것으로 금을 긋고 길을 나선다.
3호선 원흥역을 출발하여 건지산-별아산 순으로 진행하고 전에 한 차례 진행한 적이 있는 국사봉 경유 원당역에
이른 뒤 서삼릉누리길 따라 역시 초행이 되는 서삼릉까지를 일단 목표로 잡았다.

여건이 되면 서삼릉누리길이 끝나는 삼송역까지 이어본다고 했지만 입구에서 왕복해야 하는 서삼릉을 돌아본 후
다시 입구로 복귀했을 때 마침 30분 배차 간격이라는 버스가 도착하니 자연스럽게 서삼릉에서 마무리...
서삼릉 중 효릉은 온라인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면서 별도로 탐방 시간이 정해져 있어 그냥 지나치고 탐방에 제한이
없는 희릉과 예릉만 답사했다.


(원흥역 4번 출구)


(농협기술센터 지나고)


(고양대로)


(우측으로 조금 진행... 기산골입구 교차로에서 신호 기다려 횡단보도를 건넌다)


(고양대로1670번길로 들어서서 접하는 고갯마루가 건지산 들머리)


(반반한 산길이 이어진다)


(사유지 울타리 지나고)


(좌로 꺾이는 지점)


(우측으로 훼릭스클럽 경기장들이 내려 보인다)





(저 위 산불감시탑이 건지산 정상)


(좌로 돌아 오르는 산길 벗어나 바로 급사면을 치고 오른다)


(주능 도착하고)


(건지산)


(하산은 일단 동쪽 능선으로)


(한 굽이 내려선 묘지 앞에서 능선 벗어나 남쪽으로 내려서는 뚜렷한 길을 따른다)





(산길 끝나고)


(서오릉로716번길 미르젠빌 앞으로 내려왔다)


(서오릉로 지하통로 통과하고)


(직진 방향으로 조금 더 진행한 뒤)


(우측 원흥풋살 방향으로)


(원흥풋살)


(지나자마자 솔밭동산이 펼쳐진다)


(솔밭동산 산책로 따라 진행)


(중간중간 자리한 조각 작품들도 음미하면서)





(뒤돌아 봄)


(솔밭동산이 끝난 이후로도 반반한 산책로가 이어지니 발걸음이 가볍다)


(한 굽이 오르면 능선 4거리를 이루면서 오래된 삼각점이 보이는 별아산)


(직진으로 진행한다)





(강고개 3거리에서 우측으로)


(그 다음 능선 3거리에서도 국사봉 초입과 가까운 우측을 택했는데 한 굽이 내려서니 바로 내려서는 길이 없고 좌사면으로 방향을 틀어 올라서면서 결국 좌측 능선길과 다시 합쳐진다)


(좌측 능선길과 합쳐지는 지점)


(이후는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웬 석상)


(산길 끝나고)


(별아산천)


(이곳으로 내려왔다)


(국사봉 초입까지는 흥도로 따라 진행)


(풍천장어 직판장이 있는 곳이 국사봉 들머리이다)





(지능선쪽으로 살짝 비켜있는 봉우리 차지하고 간단히 식사를 하고)





(×84.3봉)


(서울문산고속도로)





(전에 행주산성까지 진행했던 고양누리길4코스 행주누리길 만나고)


(육각정)


(부대가 차지한 국사봉 정상은 못 오르지만 대신 사면으로 한 바퀴 돌 수 있다. 전에는 북쪽 사면으로 진행했으니 오늘은 남쪽 사면으로...)


(부대 펜스를 바짝 끼고 좁은 산길이 이어진다)


(흥도동 갈림길 이후는 넓은 산책로)





(북쪽 사면을 경유한 길 만나고)


(저 위 국사봉 정상은 눈으로만 음미한다)


(지석묘)


(국사봉다리)


(3호선 철길과 충장로를 동시 건너는 보행다리이다)





(성라공원 안내판)





(성라공원 체력단련장)


(원당역 하산길)


(원당역 하산길에서 국사봉)


(원당역 하산길에서 국사봉다리와 그 뒤 국사봉)


(좌측 아파트 방향으로도 하산길이 하나 내려서고)


(산길 끝나는 곳)





(횡단보도 건너 원당역)


(역사 경유하여 원당역을 빠져 나오면)


(고양누리길3코스 서삼릉누리길이 사작된다)


(안내 표시판은 잘 되어 있지만)


(시종 도로를 따라야 하는 다소 지루한 길)








(서울문산고속도로가 옆으로 지나간다)





(수역이마을)


(서울문산고속도로 지하통로 통과하고)





(여기부터 우측은 서울한양CC)








(서삼릉 청소년야영장 입구)


(저 앞이 태실과 효릉 정문)





(그런데 문이 잠겨져 있네)


(온라인 사전 예약을 해야 입장할 수 있고 1일 3회 별도 지정된 시간에만 탐방이 가능하다고 한다)


(방법이 없으니 그냥 지나간다)





(우측은 여전히 서울한양CC가 차지한 상태이고)


(
서삼릉 입구 너른마당... 서삼릉까지 갔다가 되돌아 나와야 한다)


(서삼릉 가는 길)





(좌측은 농업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이고)





(우측은 원당종마목장)


(농업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 정문)


(우측 서삼릉 매표소)


(바로 옆은 원당종마목장 입구인데 월,화는 휴무라며 오늘은 문을 열지 않았다)


(서삼릉 종합안내도)


(매표소)


(관람 정보... 희릉-예릉-의령원-효창원 순으로 돌기로 한다)


(희릉 가는 길)


(희릉)


(조선 11대 중종의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 윤씨의 능이다)








(예릉 가는 길)


(예릉)





(조선 25대 철종과 철인황후 김씨의 능이다)








(소경원쪽은 출입제한 지역이고)


(의령원 효창원 가는 길)


(의령원 효창원)


(의령원은 조선 21대 영조의 세손이자 장조의 맏아들 의소세손의 원이고 효창원은 조선 22대 정조의 맏아들 문효세자의 원이다)





(서삼릉 입구로 되돌아간다)


(서삼릉 입구 복귀... 원흥역을 오가는 043번 마을버스 종점이 되는 곳이다)


(때마침 3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는 버스가 곧 도착한다는 정보)


(삼송역까지 진행한다는 생각을 접고 버스로 원흥역으로 나온 뒤 전철 타고 귀가길에 오른다)

[E N D]

댓글